HOME > > ı
 
 
ۼ : 22-10-14 13:42
한국 MZ세대, 연인 상대 고
 ۾ : 건빵폐인
ȸ : 123  
(서울=뉴스1) 이유진 기자 = "MBTI가 어떻게 되시나요?", "저는 ESFP입니다"

1940년대 미국에서 만들어진 성격유형 검사인 MBTI(Myers-Briggs Type Indicator) 테스트는 최근 한국 MZ세대 사이에 일상이 됐다. 첫 만남에서부터 MBTI 유형을 물으며 서로를 알아가고, 심지어는 연인을 사귈 때도 이를 중시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.

23일 (현지시간) 미국 CNN은 이 같은 한국 젊은세대 사이의 MBTI 열풍에 대해 집중 조명했다. CNN은 한국의 MZ세대가 데이트 상대를 찾는 데 MBTI를 적극 활용한다며, 2030세대가 상대를 알아갈 때 시간을 낭비하기보다 MBTI가 잘 맞는 사람을 골라서 만난다고 분석했다.

MBTI는 외향·내향, 감각·직관, 사고·감정, 판단·인식 등 지표에 따라 성격을 16개 유형으로 나눈다. 영어 알파벳 4개의 조합으로, 각 유형엔 심리적 특성이 반영된다.

이는 캐서린 쿡 브릭스와 이사벨 브릭스 마이어스 모녀가 스위스 심리학자 칼 융의 이론에 기반해 만든 테스트로, 2차 세계대전 당시 여성에게 적절한 일자리를 찾아주기 위해 활용됐다.

.

기업들에서도 MBTI를 적극 활용하는 추세다. 파라다이스그룹은 MBTI 유형에 따라 어울리는 여행지 추천 서비스를 실시했다. 제주맥주는 각 유형을 새긴 맥주 캔을 출시했다. 구인사이트에는 ‘열정적이며 혁신적’인 ENFP를 찾는다는 모집 공고가 올라오기도 했다.

.

코로나19 외에도 경쟁이 치열한 고용 시장, 치솟는 실업률, 천정부지의 집값 상승 등 한국의 젊은 세대들의 미래에 대한 비관이 MBTI 몰입에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도 나온다.

연애 및 결혼, 출산, 내 집 마련 등을 포기한 일명 'N포 세대'로도 불리는 MZ세대가 데이트 상대를 찾는 데 많은 시간이나 노력을 들일 의향이 없어, 효율적인 MBTI에 대한 과몰입이 발생했다는 관점도 나온다.

많은 전문가들은 MBTI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것은 건전하지 않을 뿐 아니라 과학적 근거도 결여돼 있다고 우려한다. 앞서 많은 심리학자들은 MBTI 결과에는 일관성이 없고, 다양할 수밖에 없는 사람의 성격을 몇 개의 틀로 가둬버린다며 문제점을 지적해왔다.

MBTI 업체 마이어스-브릭스컴퍼니 또한 주의를 당부했다. 아시아태평양 총괄인 캐머런 놋은 한국에서 MBTI의 인기가 "매우 기쁘다"면서도 "자신과 잘 맞는 연애 상대를 찾는 데 MBTI를 사용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"고 밝혔다.

.

이유진 기자(real@news1.kr)

http://naver.me/xHiN357T